작가는 1세대 스타일리스트이자 현재는 대학에서 스타일링 관련 강의를 하는 교수이다. 경력자의 시각에서 보는 k-뷰티 및 '스타일링 산업'의 변화와 해석. 산업혁명은 기존의 것에 효율성 제고를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데 핵심을 둔 생산성 혁명이지만, 디지털 혁명은 기존의 것이 아닌 다른 효과와 가치를 창조해내는데 더 중점을 두고 있다. 또한 MZ세대의 현재 만족형, 자기중심형 가치 반영에 따른 소비 경향(본인 자신을 위한 투자를 기본으로 하는)이 고착화되었다. 이런 흐름으로 봤을 때 현대 사회는 어느 시대보다 휴먼 스타일링이 중요한 때가 아닐까. 단순히 기능적 측면을 넘은 무형의 가치를 창출하고 개별 가치 표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 비주얼적인 만족도이기 때문이다. 스타일링과 라이프스타일 라이프스타일의 ..